충분히 쌓여가는
IPv4와 IPv6 본문
IPv4(Internet Protocol version 4)
-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패킷 교환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32비트 주소체계를 갖는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
- 약 43억 개의 고유한 IP주소를 가질 수 있음
-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 자원을 구분하기 위한 인터넷 주소
- 총 32비트 숫자로 8비트씩 나누어 4부분으로 구성(. 마침표로 구분)
- 네트워크 부분의 길이(인터넷 주소의 개수)에 따라 A클래스에서 E클래스까지 총 5단계로 구성
- 원래 2진수로 되어있지만 사람 기준 구분하기 힘들기 때문에 192.168.0.1(10진수)과 같이 표현함
IPv4 헤더(Header)
- IP 패킷의 앞부분에서 주소 등 각종 제어정보를 담고 있는 부분
- IPv4 헤더 사이즈는 옵션 미지정시에는 최소 20바이트 이상(IPv6 경우 최소 40바이트 이상)
IPv4 주소체계
- IPv4의 주소체계는 10진수로 총 12자리이며, 네 부분으로 나뉨
- 각 부분은 0~255까지 3자리의 수로 표현됨
- IPv4 주소는 32비트로 구성되어 있음
-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로 인해 주소 공간의 고갈로 128 비트의 주소체계를 갖는 IPv6가 등장, 점차 확산 중임
- 32비트 IP 주소는 Network를 나타내는 부분과 Host를 나타내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음
- Subnet Mask: Network 부분(사용 못하는 부분)과 Host 부분(사용할 수 있는 부분)을 구분
- IP주소 첫번째 수로 구분 가능(192.168.0.1은 첫번째 수가 192로 시작하기 때문에 C Class | 10.10.10.0은 A Class)
IPv4 클래스 분류
분류 | 설명 | 범위 |
A class | - 가장 높은 단위의 클래스 - 1~126(0, 127로 시작된 IP는 예약됨) 범위의 IP 주소 가짐 - 두 번째, 세 번째, 네 번째 단위의 세 숫자는 A class가 자유롭게 네트워크 사용자에게 부여가 가능한 IP - 국가나 대형 통신망에 사용(16,777,214개의 호스트)[1~127] |
0.0.0.0 ~ 127.255.255.255 |
B class | - 두 번째로 높은 단위의 클래스 - 첫 번째 단위의 세 숫자는 128~191 가운데 하나를 가짐 - 두 번째 단위의 세 숫자는 B class가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지시 - 중대형 통신망(회사)에 사용(65,534개의 호스트)[128~191] |
128.0.0.0 ~ 191.255.255.255 |
C class | - 최하위 클래스 - 아이피 구성에서 첫 번째 단위의 세 숫자는 192~223 가운데 하나를 가짐 - 두 번째와 세 번째 단위의 세 숫자는 C class가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지시 - C class가 자유로이 부여할 수 있는 아이피는 마지막 네 번째 단위의 254개(2개는 예약) - 소규모 통신망(일반 가정집, 피씨방)에 사용(254개의 호스트)[192~223] |
192.0.0.0 ~ 223.255.255.255 |
D class | - 멀티캐스트 용도(화상회의)로 예약된 주소 | 224.0.0.0 ~ 239.255.255.255 |
E class | - 연구를 위해 예약된 주소 | 240.0.0.0 ~ 255.255.255.255 |
IPv4 한계
- 80년대에 IPv4를 개발할 당시 추후 40년 후에 사람들이 최소 2개 이상의 인터넷 연결 장치를 가지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함
- 즉, 충분한 IP 주소를 제공할 수 없게됨
IPv6(Internet Protocol version 6)
-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 중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
- 버전 6 인터넷 프로토콜로 제정된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
- 현재 IPv4가 가지고 있는 주소고갈, 보안성, 이동성 지원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발된 128Bit 주소체계를 갖는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
IPv6 특징
특징 | 설명 |
IP 주소의 확장 | - IPv4의 기존 32비트 주소 공간에서 벗어나, IPv6는 128비트 주소 공간을 제공(16비트씩 8부분) |
이동성 | - IPv6 호스트는 네트워크의 물리적 위치에 제한받지 않고 같은 주소를 유지하면서도 자유롭게 이동 가능 |
인증 및 보안 기능 | - 패킷 출처 인증과 데이터 무결성 및 비밀 보장 기능을 IP 프로토콜 체계에 반영 - IPSec 기능적용 및 IPv4보다 보안성 강화 |
개선된 QoS 지원 | - 흐름 레이블(Flow Label) 개념 도입 - 특정 트래픽은 별도의 특별한 처리(실시간 통신 등)를 통해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 |
Plug&Play 지원 | - IPV6 호스트는 IPv6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순간 자동적으로 네트워크 주소를 부여받음 - 멀티미디어의 실시간 처리 가능 |
Ad-hoc 네트워크 지원 | - Ad-hoc 네트워크를 위한 자동 네트워킹 및 인터넷 연결 지원 - 자동으로 네트워크 환경 구성 가능 |
단순 헤더 적용 | - IP 패킷의 처리를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고정 크기의 단순 헤더를 사용하는 동시에, 확장 헤더를 통해 기능에 대한 확장 및 옵션 기능 사용이 용이한 구조 |
실시간 패킷 추적 가능 | - 흐름 레이블(Flow Label)을 사용하여 패킷의 흐름을 실시간 제공 |
- 128비트의 긴 주소를 사용하여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, IPv4에 비해 자료 전송 속도 빨라짐
- 인증성, 기밀성, 데이터 무결성의 지원으로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
- IPv4와 호환성 뛰어남
- 주소의 확장성, 융통성, 연동성 뛰어남
- 실시간 흐름 제어로 향상된 멀티미디어 기능 지원
- IPv4에 비해 등급별, 서비스별로 패킷을 구분할 수 있어 품질 보장 용이
IPv6 헤더(Header)
IPv6 주소체계
- IPv4는 32비트의 주소 공간을 제공함에 반해, IPv6는 128비트의 주소 공간을 제공함
- IPv6 주소의 경우 일반적으로 16비트 단위로 나누어지며(너무 길기때문) 각 16비트 블록은 다시 4자리 16진수로 변환되고 콜론으로 구분됨
- 64비트를 기준으로 앞 64비트를 네트워크 주소로, 뒤 64비트를 네트워크에 연결된 랜카드 장비 등에 할당하는 인터페이스 주소로 활용됨
- IPv6의 128비트 주소 공간은 128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3.4 x 10의 38승개의 주소를 갖고 있어 거의 무한대로 쓸 수 있음
- IPv6의 128비트 주소 공간은 16비트(2옥탯)를 16진수로 표현하여 8자리로 나타냄
- 주소를 주소 체계별로 할당하기 떄문에 주소 낭비를 주여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음
더보기
2001:0db8:85a3:08d3:1319:8a2e:0370:7334
- 대부분의 자리가 0의 숫자를 가지게 됨
- 0000을 0으로 축약하거나, 아예 연속되는 0의 그룹을 없애고 ':'만을 남길 수 있음
- 아래의 IPv6 주소들은 모두 같은 주소를 나타냄
2001:0DB8:0000:0000:0000:0000:1428:57ab
2001:0DB8:0000:0000:0000::1428:57ab
2001:0DB8:0:0:0:0:1428:57ab
2001:0DB8:0::0:1428:57ab
2001:0DB8::1428:57ab
- 맨 앞자리의 0도 축약 가능(2001:0DB8:02de::0e13는 2001:DB8:2de::e13로 축약 가능)
- 0을 축약하고 ':'로 없애는 규칙은 두 번 이상 적용할 수 없음
IPv6 주소체계
유니캐스트(Unicast) | 단일 송신자와 단일 수신자 간의 통신(1:1 통신) |
멀티캐스트(Multicast) | 단일 송신자와 다중 수신자 간의 통신(1:N 통신)[인터넷 방송] |
애니캐스트(Anycast) | 단일 송신자와 가장 가까이 있는 단일 수신자 간의 통신(1:1 통신) |
IPv4와 IPv6 특징
구분 | IPv4 | IPv6 |
주소길이 | 32Bit | 128Bit |
표시방법 | 8비트씩 4부분으로 나뉜 10진수 (192.168.10.1) |
16비트씩 8부분으로 나뉜 16진수 (2001:9e76:..:e11c) |
주소개수 | 약 43억 개 | 3.4 x 10의 38승 |
주소할당 | A, B, C, D 등 클래스 단위 비순차적 할당(비효율적) | 네트워크 규모 및 단말기 수에 따른 순차적 할당(효율적) |
품질제어 | 품질 보장 곤란 | 등급별, 서비스별로 패킷 구분 기능해 품질 보장 용이(QoS) |
헤더크기 | 가변 | 고정 |
QoS | Best Effort 방식 / 보장 곤란 | 등급별, 서비스별 패킷 구분 보장 |
보안기능 | IPSec 프로토콜 별도 설치 | 확장기능에서 기본 제공 |
Plug&Play | 지원 안함 | 지원 |
모바일IP | 곤란 | 용이 |
웹 캐스팅 | 곤란 | 용이 |
전송방식 | 유니캐스트, 멀티캐스트, 브로드 캐스트 | 유니캐스트, 멀티캐스트, 애니캐스트 |
IPv4에서 IPv6 전환 방법
- IPv4 전용 호스트와 IPv6 전용 호스트 간의 통신을 위한 기술
- 주소와 헤더의 변환 수행
- 변환 기술: Dual Stack, Tunneling, Address Translation
1. 듀얼 스택(Dual Stack)
- IP 계층에 두 가지(IPv4, Ipv6)의 프로토콜이 모두 탑재되어 있고 통신 상대방에 따라 해당 IP 스택을 선택하는 방법
듀얼스택 특징
구분 | 특징 |
장점 | DNS 주소 해석 라이브러리(DNS Resolver Library)가 두 IP 주소 유형을 모두 지원 |
단점 | 프로토콜 스택 수정으로 인한 과다한 비용 발생 |
2. 터널링(Tunneling)
- IPv6 망에서 인접한 IPv4 망을 거쳐 다른 IPv6 망으로 통신할 때 IPv4 망에 터널을 만들고 IPv4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로 캡슐화하여 전송하는 방법
터널링 특징
구분 | 특징 |
장점 | 여러 표준화 활동 존재하고 다양한 기술 표준이 제안되고 있음 |
단점 | 구현이 어려우며, 복잡한 동작 과정 가짐 |
3. 주소 변환(Address Translation)
- IPv4 망과 IPv6 망 사이에 주소변환기(IPv4-IPv6 게이트웨이)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네트워크 상의 패킷을 변환시키는 방법
- 주소변환 방식은 게이트웨이 관점이라고도 함
- 게이트웨이 관점의 IPv4/IPv6 변환방식은 변환방법에 따라서 헤더 변환방식, 전송 계층 릴레이 방식,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방식으로 분류함
주소변환 특징
구분 | 특징 |
장점 | IPv4, IPv6 호스트의 프로토콜 스택에 대한 수정이 필요 없으며, 변환방식이 투명하고 구현 용이 |
단점 | 고가의 주소 변환기 필요 |
참고자료
수제비 정보처리기사 실기 11-36 ~ 11-41
IBM, IPv4와 IPv6의 비교
'IT > Computer Scien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ession 기반 인증 | Token 기반 인증 (0) | 2023.01.06 |
---|---|
GPU(Graphic Processing Unit) (0) | 2023.01.05 |
Domain (0) | 2023.01.04 |
CPU(Central Processing Unit) (0) | 2023.01.04 |
Router (0) | 2023.01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