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이것이 자바다 (108)
충분히 쌓여가는
타입[] 변수 = new 타입[길이]; 타입[] 변수 = null; 변수 = new 타입[길이]; 예시 int[] intArray = new int[5]; new 연산자로 배열을 처음 생성하면 배열 항목은 기본값으로 초기화 된다 byte[] 0 short[] 0 int[] 0 long[] 0L char[] '\u0000' float[] 0.0F double[] 0.0 클래스[] null 인터페이스[] null 예시 int[] scores = new int[5]; 0 1 2 3 4 0 0 0 0 0 String[] names = new String[5]; 0 1 2 3 4 null null null null null
배열 변수 선언 타입[] 변수; //더 많이 사용 타입 변수[]; 배열의 변수는 참조 변수 배열도 객체이므로 힙 영역에 생성되고 배열 변수는 힙 영역의 배열 주소를 저장한다 참조할 배열이 없다면 배열 변수도 null로 초기화할 수 있다 만약 배열 변수가 null 값을 가진 상태에서 변수[인덱스]로 값을 읽거나 저장하게 되면 NullPointerException이 발생한다 타입[] 변수 = null; 값 목록으로 배열 생성 타입[] 변수 = { 값0, 값1, 값2, 값3, ... }; 중괄호 {}는 나열된 값들을 항목으로 가지는 배열을 힙에 생성하고, 번지를 return 한다 배열 변수는 return된 번지를 저장함으로써 참조가 이루어진다 예제 package ch05.sec06; public class A..
문자열이 구분자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문자열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, 이를 따로 분리해서 얻고 싶다면 split() 메소드를 사용 board는 쉼표로 구분된 문자열을 가지고 있다 split() 메소드를 호출할 때 쉼표를 제공하면 분리된 문자열로 구성된 배열(array)을 얻을 수 있다 String board = "번호, 제목, 내용, 성명"; String[] arr = board.split(","); arr[0] arr[1] arr[2] arr[3] "번호" "제목" "내용" "성명" 예제 package ch05.sec05; public class SplitExample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tring board = "1,자바학습,참조 타입 Stri..
주어진 문자열이 단순히 포함되어 있는지만 조사하고 싶다면 contain() 메소드를 사용하면 된다 원하는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으면 contains() 메소드는 true를 return하고,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return 한다 String subject = "자바 프로그래밍"; boolean result = subject.contains("프로그래밍"); 예제 package ch05.sec05; public class IndexOfContainsExample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tring subject = "자바 프로그래밍"; int location = subject.indexOf("프로그래밍"); System.out.println(loca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