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 git stash
- 작성한 코드를 지워두고 싶으면 주석처리 해도 되지만,
git stash라는 명령어를 사용해도 된다 - 임시보관함에 잠시 넣어둔다고 생각하면 됨
git stash- 파일이 최근 commit 상태로 돌아감
- staging 여부에 상관없이 추적 중인 파일은 다 이동됨
- 새로 만든 파일인데 staging 안된 경우 이동 안된다
git stash는 여러 번 가능
git stash save "메모"- git stash 할 때 메모도 함께 입력 가능
git stash list- 현재
stash되어있는 코드 목록을 전부 출력해 줄 수 있다
git stash popgit stash가 최근에 보관했던 코드를 불러온다- 현재 코드와 겹치는 부분은
conflict발생하지만 해결하면 됨
git stash drop 삭제할id- 특정
stash삭제 - id는
git stash list입력하면 보이는 0, 1, 2와 같은 숫자
git stash clear- 모든
stash삭제
git stash -p- 일부 코드만
git stash하고 싶은 경우 사용 - y/n 중에 선택
주석처리하지 굳이 stash?
- 주석처리와 비슷하지만 주석처리된 코드는 commit 할 때 반영됨
stash는 commit 시에 반영이 안된다
stash 대신 branch 새로 만드는거는?
- 그래도 됨
반응형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git flow, trunk-based 브랜치 전략 (0) | 2024.01.18 |
|---|---|
| pull request, 브랜치로 협업 (0) | 2024.01.18 |
| git pull, clone, 협업 (0) | 2024.01.18 |
| github 사용법, git push (0) | 2024.01.18 |
| git revert, reset, restore (0) | 2024.01.18 |